좋은글
동편 뜰에 꽃을 풀어
유유(游留)
2020. 6. 8. 18:49
동편 뜰에 꽃을 풀어
불타는 혀를 내밀어
우리는 사랑을 약조했다.
사랑의 둘레는 축축하다
첫날에는 안개를 부르고
둘째 날
동편 뜰에 꽃을 풀어
축축한 홍매화 가지를
이승 밖으로 내밀기도 했다.
셋째 날
세 번 절하고 세 번 운다
울어도 눈물이 흐리지 않을 때
살아 있어도 귀신이다.
당신은 안아 줄 몸이 없는 情人
아픈 계절은 어떻게
꽃잎으로 깃드는지
사람이 사람에게
첫정으로 스며드는지
곰팡이 핀 눈동자
매화는 분홍빛 곡조로 핀다.
-서 안나(1965~)-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요약하자면 삶은 '사랑의 슬픔' 쯤 됩니다.
사랑의 '사흘'쯤 됩니다. 첫날은 '안개'의 날,
흐리고 오리무중입니다. 그래야 사랑이지요
끝을 지워버린 길의 시작!
둘째 날 '동편 뜰' 처럼 찬란합니다. 담 밖
으로까지 뻗어 핀 '홍매'처럼 그 타고난
바의 피어남에 두려울 것 없습니다. 그리
고 셋째 날 '안아줄 몸이 없는 정인'으로 돌아
섭니다. 죽음 혹은 기타의 까닭이 있지요
끝내 비극 같지만 적절합니다. 괜찮습니다.
사랑으로 으스러진 삶이니까요. 으스러질 것을
아는 직업, 혁명가(개혁사)가 나오는 까닭도 실은
그 사랑의 실체를 알아차린 까닭입니다.
'홍매'가 어쩌면 사랑 최후의 '곰팡이 핀 눈동자'로
부터 싹터온 꽃으로 읽히니 더욱 붉습니다.
지난봄의 그것들을 다시 불러내 한참을 바라봅니다.
장석남의 시로 가꾸는 정원 (117) (시인. 한양여대 교수)
출처 : 조선일보 A30면 오피니언 하단 2020년6월 8일